카테고리 없음

임상심리사 2급 실기 <심리학개론> 족보파일

삼 이 2021. 9. 10. 12:12

안녕하세요.

삼이예요!

오늘은 임상심리사2급 실기 <심리학개론> 시험에 나오는 핵심 이론들만 가져와봤습니다.

이 이론만 공부하면 임상심리사 2급 실기는 바로 붙으실 것 같습니다!

그럼 바로 볼까요?

 


 

 

1절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의 특징

정신적 결정론

: 5세 이전의 과거경험에 의해 결정

무의식의 강조

 

2. 프로이트의 인간발단단계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

 

3. 불안의 종류

현실 불안

: 객관적 불안이라고도 함. 외부세계에서의 실제적인 위협을 지각함으로써 발생하는 감정적 체험

신경증적 불안

: 자아(Ego)가 원초아(Id)를 통제하지 못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불상사에 대해 위협을 느낌

도덕적 불안

: 원초아와 초자아(Super ego)간의 갈들에 의해 야기되는 불안. 자기 양심에 대한 두려움과 연관됨

 

 

 

2절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2.

1) 유아기(신뢰감 대 불신감)

2) 초기아동기(자율성 대 수치심·회의)

3) 학력정기(주도성 대 죄의식)

4) 학령기(근면성 대 열등감)

5) 청소년기(자아정체감 대 정체감 혼란)

6) 청년기(친밀감 대 고립감)

7) 중년기(생산성 대 침체기)

8) 노년기(자아통합 대 절망)

3절 아들러의 개인심리이론

 

특징

(Q. 아들러 개인심리이론 특징 5가지를 쓰시오.)

인간을 전체적·통합적으로 본다.

인간은 창조적이고 책임감 있는 존재이다.

열등감과 보상이 개인의 발달에 동기가 된다.

인간의 행동은 목적적이고 목표지향적이다.

인간은 성적동기보다 사회적 동기에 의해 동기화된다.

 

 

2. 생활양식의 4가지 유형 *지기도사*

지배형

기회형

도피형

사회형

 

 

4절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감각운동기 (0~2)

: 감각운동기는 유아가 경험하는 자극이 감각적이며, 이러한 자극에 대한 반응이 신체운동으로 나타난다는 의미다.

 

전조작기 (2~7)

: -사고는 가능하나 직관적인 수준이며, 아직 논리적이지 못하다.

- 보존개념을 이해하기 시작하지만 아직 획득하지 못한 단계이다.

 

구체적 조작기(7~12)

: - 사물의 형태가 변하더라도 그 사물의 질량이나 무게 등은 변하지 않을 수 있다는 보존개념을 획득한다.

분류화, 서열화가 가능

 

형식적 조작기(12세 이상)

: - 가설, 연역적 사고는 물론 추상적 사고도 가능하다

 

2. 피아제의 도덕성발달단계

1단계 : 전 도덕성의 단계

2단계 : 타율적 도덕성의 단계

3단계 : 자율적 도덕성의 단계

 

5절 콜버그의 도덕성발달이론

1. 콜버그의 도덕성발달단계

 

전인습적 수준(4~10)

: 자기중심적인 도덕적 판단을 특징으로 함, 사회적인 기대나 규범, 관습으로서의 인습을 잘 이해하지 못함

1단계
타율적 도덕성
2단계
개인적·도구적 도덕성

 

인습적 수준(10~13)

: 사회적인 기대나 규범, 관습으로서의 인습에 순응적인 양상을 보이며, 다른 사람의 입장과 견해를 이해할 수 있다.

3단계
대인관계적 도덕성
4단계
·질서·사회체계적
도덕성

 

후인습적 수준(13세 이상)

: 자기 자신이 인정하는 도덕적 원리에 근거하여 법이나 관습보다는 자신의 가치기준에 따라 도덕적 판단을 함

5단계
민주적·사회계학적
도덕성
6단계
보편윤리적 도덕성

 

 

6절 매슬로우의 인본주의 성격이론

1. 인간욕구의 위계 5단계

1단계 : 생리적욕구

2단계 : 안정에 대한 욕구

3단계 : 애정과 소속에 대한 욕구

4단계 : 자기존중 또는 존경의 욕구

5단계 : 자아실현의 욕구

 

 

 

3, 자기실현을 한 사람의 특징

현실 중심적

문제해결능력이 탁월함

사생활을 즐김

환경과 문화에 영향을 받지 않음

사회적인 압력에 굴하지 않음

인간적 · 공동체적임

 

 

7절 기타 이론

1,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범주

정체감 성취

정체감 유예

정체감 유실

정체감 혼란

 

2. 노년기 죽음에 대한 태도

1단계 : 부정단계

2단계 : 분노단계

3단계 : 타협단계

4단계 : 우울단계

5단계 : 수용단계